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보신 것처럼 거대한 태풍이 시시각각 다가오는 게 이제 실감이 나기 시작합니다. 태풍이 다시 몸집을 키운 채 북상 중인데요, <br> <br>언제 가장 고비가 될지, 그 피해는 어느 정도일지 김태욱 기자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<br><br>[질문1] 보통 태풍은 북상하면서 세력이 약해지잖아요. 근데 '힌남노'는 왜 다시 세력이 커지고 있는 건가요? <br><br>먼저 위성 영상을 보시죠. <br> <br>태풍의 눈을 뚜렷하게 유지한 채 이동하던 '힌남노'가 이렇게 태풍의 눈이 사라지는 순간이 있었습니다. <br> <br>잠시 정체했을 때 일시적으로 세력이 약해졌었는데요. 북상을 시작한 이후로는 희미해졌던 태풍의 눈도 다시 나타나고 세력을 키우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지금이 '매우 강' 단계인데요, 내일 새벽 3시쯤엔 태풍의 가장 높은 단계인 '초강력' 으로 커질 전망입니다. <br><br>세력을 키울 수 있었던 이유 2가지입니다. <br> <br>동중국해 수온이 예년보다 2도가량 높아 태풍에 에너지를 불어넣고 있고요. <br> <br>또 하나, 인도양과 남중국해에서 수증기도 꾸준히 공급되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태풍에 연료를 계속 공급하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고요, <br> <br>반대로 성장을 막는 요소가 없습니다. <br> <br>대기 상하층 풍향과 풍속의 차이가 크면 태풍의 구조를 깨뜨릴 수 있는데 그 차이가 작다 보니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[질문2] 그럼 '힌남노'는 지금 어디쯤 있고, 우리나라는 언제가 가장 큰 고비가 되나요? <br><br>현재 대만 동북동 쪽 약 320㎞ 부근 해상에 있는데요. 시속 18㎞ 속도로 우리나라를 향해 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중심기압이 940헥토파스칼에 최대풍속은 초속 47m의 바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우리나라는 태풍이 가장 근접하는 내일 밤부터 6일 오전까지가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우선 강한 바람이 걱정인데요. <br> <br>제주도와 전남·경남 해안의 경우 초속 40~60m의 매우 강한 바람이 불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달리는 차도 넘어뜨릴 수 있는 세기입니다. <br> <br>중부지방이라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초속 15~20m 반경 안에 한반도 거의 모든 지역이 포함돼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많은 비도 우려되는데요. <br> <br>지난 2016년 태풍 '차바'의 영향으로 양산시는 1시간 동안 119.5mm의 비를 뿌려 역대 기록으로 남아있습니다. <br> <br>이번 '힌남노'가 그 기록을 넘어설 것이란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[질문3] 기상청도 "한 번도 예상하지 못했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"고 경고했잖아요. <br> <br>네, 역대 최악의 태풍으로 손꼽는 게 2003년 매미, 그리고 2016년 차바를 들 수 있는데요, <br><br>그 당시 피해 규모를 살펴보면 태풍 '매미'는 사망 119명, 실종 12명에 총 61,844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습니다. 재산 피해도 4조 2,225억 원이나 됐고요. <br><br>비를 많이 뿌렸던 '차바'의 경우에는 사망 6명에 이재민 6,714명, 재산피해가 2,150억 원이었습니다. <br> <br>태풍 '힌남노'는 이보다 강한 위력을 품고 오고 있기 때문에 정말로 각별한 대비가 필요한 겁니다. <br> <br>주의할 사항이 한 가지 더 있는데요. <br> <br>높은 물결에 따른 피해입니다. <br> <br>기상청에 따르면 "최대 10m 이상의 집채만 한 물결이 일 수 있다"고 했는데요. <br> <br>태풍으로 인해 평소보다 바다 수위가 올라간 상태에서 강한 바람까지 불기 때문인데요. <br> <br>거기에 태풍이 근접하는 시간대에 만조, 밀물 시기가 겹칠 수 있어서 해일은 더 높아질 거라는 겁니다. <br> <br>해안가 주변과 저지대 주민들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.